백엔드와 프론트엔드가 분리된 환경에서 Oauth 연동하기


과거에 주로 개발하던 구조는 보통 백엔드와 프론트엔드가 합쳐진 구조로 개발되어 왔다.
Java 계열에서 프론트 페이지는 JSP/Thymeleaf 등의 서버 템플릿 엔진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최근에는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가가 발전하고 개발규모도 커지면서 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을 분리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전 구조에서 카카오나 구글과 같은 외부 Oauth를 연동할 땐 redirect 처리라든지 token 처리라든지 처리 주체가 백 프론트 합쳐진 단일 주체라 큰 문제가 없었는데 분리된 구조에서는 각 처리 주체의 선정이 모호하여 이참에 정리하였다. 이 과정이 공식화 된 정답은 아닐 수 있다.


대강의 프로세스 과정

그림1. 각 역할 별 플로우 정리

수정링크(PlantUML)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정리해보면

1. 로그인 창 호출

외부 인증서버(카카오, 구글 등)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로그인 창을 띄우기를 요청한다.

2. 로그인 창 제공

각 서비스 제공사의 로그인 화면이 뜨는 단계다.

3. 로그인 정보 전달

해당 서비스로 연동된 로그인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4. 인가코드(Authorization Code)와 함께 Redirect

3의 과정을 거치면 인증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등록시 설정한 redirect 정보로 authorization code를 파라미터로 전달해준다.
각각의 서비스 별로 redirect 설정하는 설정 페이지가 있으니 찾아서 등록을 해줘야 한다.

frontend로 code화 함께 redirect 되는게 걱정될 수 있는데 oauth server의 authorization code는 대부분 1회성이거나 만료기간이 매우 짧게 설정 되어 있어 괜찮다. 혹은, 도메인 그룹이 같다면 backend로 redirect 후 cookie 세팅 해주는 정도로 변경할 수는 있다.

5. 인가코드 전달

인증 서버로부터 받은 code를 백엔드로 전달해주는 과정이다. code 자체가 휘발성이 강하지만 POST 방식으로 노출을 최소화 한다.

6. 인가코드로 Access Token 요청

프론트엔드로부터 받은 코드를 통해 인증서버에 AccessToken 발급을 요청한다.(보통의 oauth 표준은 /oauth/token)
백엔드 서비스 내에서 HttpClient로 내부 호출하여 응답을 받는다.

7. Access Token 발급

인증서버는 유효한 code를 통해 자원을 사용할 범위 또는 권한을 갖는 AccessToken을 발급해준다.

8. 서비스 자원 요청(with Token)

서비스에서 사용할 유저 인증에 필요한 인증서버 고유의 유저 자원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ex. Kakao Id, Google Id, Email 등)

9 ~ 10. 서비스 자원 응답(ex. userId) 및 로그인 / 회원가입 처리, 서비스토큰 생성

백엔드는 인증서버로 부터 자원 정보를 응답받아 로그인/회원가입을 처리하고 고유 서비스에서 사용할 별도의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Token 자체로 유저를 식별할 수 있는 가벼운 키라 JWT를 보통 자주 사용한다.
인증 서버는 로그인 할 유저를 식별해주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이후의 처리는 일반적인 로그인/회원가입 처리와 같다고 보면 된다.

외부 인증서버가 아닌 내부에서 구현한 인증 서버라면 인증서버가 제공한 토큰을 그대로 사용하고 backend는 api resource server의 역할만 해주면 된다. (물론 별도의 auth server와 연결되어 token을 제공해 줄 login server를 구축해서 현재 플로우의 backend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11. 서비스토큰 응답

생성한 서비스 전용 토큰을 프론트엔드로 응답해준다. 이때 access + refresh 두가지 토큰 기반의 룰을 적용한다면 좀 더 토큰 탈취 등의 위험에서 조금은 회피할 수 있다. 짧은 만료시간을 갖는 access token와 비교적 긴 만료시간을 갖는 refresh toekn을 이용하여 노출되는 access token의 사용성을 최소화 하는 전략이다.
위에서 사용한 외부 인증 서버(Oauth) 의 경우도 AccessToken 발급 시 별도의 RefreshToken도 발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2. 서비스토큰으로 서비스 이용

응답받은 서비스 token을 적절한 위치(Vue store)에 저장하고 백엔드 호출 시 사용한다.
긴 만료시간을 갖는 refresh token과 같은 경우엔 저장소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데 나는 보통 localstorage나 cookie를 선호한다.(어짜피 털리면 다 털린다고 생각)

플로우만 적당히 인지하고 있으면 내부의 로직을 구현하는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


Refresh token은 언제 갱신할까?

서비스 정책마다 다르지만 자동으로 갱신해주느냐 수동으로 갱신해주느냐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으로 갱신할 때

백엔드 호출 시 만료된 토큰일 경우 별도의 익셉션 응답을 프론트엔드에 전달해주고, 이후 refresh token을 통해 access token을 갱신하는 방법이다. 만약 서비스에서 ajax library로 axios를 사용한다면 request interceptor 설정을 통해 요청 시 만료여부를 체크하고 갱신처리할 수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는 access token의 만료일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만료에 근접하였을 때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갱신해주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retry가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request interceptor나 백그라운드 갱신을 선호하는 편이다.

수동으로 갱신할 때

이력서 사이트나 은행, 관공서 등을 보면 로그인 세션 시간을 서비스 화면에 표기하는 서비스들이 있는데, 이런 것처럼 해당 세션의 만료 시간을 서비스에 노출해주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갱신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서비스 정책에 따라 수동 혹은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개발하면 된다.